블루투스 통신 품질, 설계 단계에서 갈린다 – 실전 가이드
블루투스 연결이 끊긴 적 있으신가요?
이어폰이든 키보드든 리모컨이든…
잘 되던 게 갑자기 끊기면 은근히 짜증 나죠. 😅
그런데 이 문제, 설계 단계에서 이미 결정된다는 걸 아셨나요?
오늘은 블루투스 통신 품질을 좌우하는 설계의 비밀을
기구설계, 시제품 제작, 제품디자인까지 풀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무선기기 개발을 고민 중이신 분이라면 끝까지 읽어보세요.
실패를 줄이고, 품질을 높이는 실전 팁을 가득 담았습니다
블루투스 통신, 왜 설계에서 갈릴까?
먼저 블루투스 원리를 간단히 짚고 넘어갈게요.
2.4GHz 주파수를 이용해 데이터를 짧은 거리에서 주고받는 무선통신 기술입니다.
하지만 이건 기본 스펙일 뿐.
통신 품질은 설계에서 얼마나 잘 맞춰주느냐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
- 안테나 위치와 방향
- 제품 외형 재질 (금속 or 플라스틱)
- 회로 배선 구조
- 주변 전자기 간섭 (Wi-Fi, 모터 등)
이걸 설계 단계에서 제대로 고려하지 않으면, 시제품 제작 이후에 통신 품질 때문에 애를 먹게 됩니다.
기구설계가 통신 품질을 망치는 순간
안테나는 블루투스의 생명줄이에요.
근데 기구설계를 멋지게 해놓고 안테나를 금속 부품 옆에 배치하면?
신호가 튕기고, 품질이 뚝 떨어집니다. 😨
저희가 개발한 사례에서도, 처음에 디자인을 멋지게 만들고 테스트해보니
통신 거리가 절반 이하로 줄어든 적이 있습니다.
기구설계에서 꼭 체크할 포인트
- 안테나는 금속과 거리 확보
- 플라스틱 외형 내부 쪽 배치
- 배터리, 모터, USB 단자와 간섭 거리 확보
- 열 발생 부품과 신호 경로 분리
이런 디테일이 바로 블루투스 통신 품질을 결정짓습니다.
방열설계의 기초 - 방열판 히트싱크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한국전자기술 입니다.전자회로를 설계하면 많은 양의 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쉽게는 PC 본체를 생각할 수 있고 소형 ESS와 같은 제품들도 엄청난 열이 발생되기 때문
ket-jm.tistory.com
시제품 제작 후 반드시 해야 할 테스트
설계 끝났다고 바로 양산?
No!
시제품 제작이 진짜 품질을 가르는 단계입니다.
저희가 하는 실전 테스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테스트 항목 | 이유 |
통신 거리 테스트 | 실제 사용 거리에서 끊김 없는지 |
Wi-Fi 간섭 테스트 | 공유기 많은 곳에서도 잘 되는지 |
페어링/재연결 속도 | 연결 끊겼을 때 얼마나 빨리 복구되는지 |
배터리 소모량 측정 | 저전력으로 얼마나 오래가는지 |
이 테스트에서 문제 생기면?
다시 설계 수정 → 시제품 재제작 → 재테스트를 반복합니다.
(그래서 시제품 제작 비용은 아끼지 마세요!)
시제품 목업 제작 비용이 책정되는 기준과 비용상승 요인
안녕하세요, 한국전자기술입니다. 시제품 목업 제작 비용은 천원단위부터 천만원 단위까지 천차만별입니다. 간단하게 비용 책정기준을 보면 시제품 목업 제작 비용 = 재료비 + (투입되는 인력 x
ket-jm.tistory.com
역설계로 배우는 통신 설계 전략
혹시 경쟁사 블루투스 제품이 왜 그렇게 안정적인지 궁금하신가요?
답은 역설계(Reverse Engineering)에 있습니다.
*역설계 흐름
- 기기를 분해해서 회로 분석
- 안테나 위치, 배선 경로 확인
- 펌웨어 구조 파악
- 무선 모듈 종류, 인증 상태 확인
이렇게 하면, 통신 품질을 높이는 설계 전략을 읽어낼 수 있습니다.
(물론 특허는 조심해야합니다!)
한국전자기술의 노하우
저희 한국전자기술은 그동안 다양한 무선기기 개발을 진행해왔는데요,
그중에서도 특히 기억에 남는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바로 환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산업용 센서 시스템 개발이었죠.
극한의 산업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통신이 이뤄지도록
기구설계부터 회로설계, 시제품 제작, 펌웨어 개발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펌웨어란? 하드웨어/소프트웨어와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한국전자기술 입니다. 펌웨어(Firmware), 하드웨어(Hardware), 소프트웨어(Software)용어는 자주 들어보았으나 무슨 뜻인지 정의하기는 어려운 단어들인데요, 오늘은 펌웨어를
ket-jm.tistory.com
❓ 자주 묻는 질문 (FAQ)
Q. 블루투스와 Wi-Fi, 뭐가 더 좋아요?
A. 쓰임새에 따라 다릅니다! 블루투스는 근거리/저전력, Wi-Fi는 장거리/고속 전송에 유리합니다.
Q. 시제품 없이 개발해도 되나요?
A. 무선기기는 꼭 시제품(워킹목업)을 제작하고 테스트해야 합니다.
Q. BLE와 블루투스, 다른 건가요?
A. BLE(Bluetooth Low Energy)는 블루투스의 저전력 버전입니다.
Q. 안테나는 어디에 배치하는 게 좋나요?
A. 플라스틱 커버 쪽 외부 근처, 금속 부품과 떨어진 곳이 가장 적합합니다.
Q. 블루투스 기기 개발 시 인증은 꼭 받아야 하나요?
A. 네, KC 인증, 블루투스 SIG 인증 등이 필요합니다.
설계가 품질을 만든다
블루투스 통신 품질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됩니다.
기구설계, 회로설계, 시제품 제작까지 한 번에 고려해야
끊김 없는 무선기기를 만들 수 있어요.
무선기기 개발,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시다면?
아이디어 구상부터 시제품 제작, 양산지원까지
한국전자기술이 원스톱으로 도와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