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회사 #한국전자기술 입니다.
많은 분들이 제품개발 시 '기구설계'라는 단어를 낯설어하고, 필요하지 않은 항목으로 생각하시는데요
시제품으로 개발을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을 양산하고 런칭하여 판매하기 위해서는 기구설계가 꼭 필요해요!
기구설계가 왜 제품 개발에 있어 중요한 단계인지 실무적으로 말씀드릴게요.
2022.12.01 - [제품개발 정보공유/제품디자인 설계] - 데이터의 실물화를 위한 #기구설계
데이터의 실물화를 위한 #기구설계
2022.11.30 - [제품개발 정보공유/제품디자인 설계] - 모델링과 랜더링 #제품이 3D 데이터화되는 과정 모델링과 랜더링 #제품이 3D 데이터화되는 과정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한국전자기술 입니다.
ket-jm.tistory.com
효율적인 금형 사용
기구설계는 시제품제작보다 금형 사출을 통한 제품생산과 연관성이 깊습니다. 기구설계 단계에서는 사출 공정을 고려하여 제품이 효율적으로 생산될 수 있도록 설계해줄 수도 있어요.
생산라인을 통해 외관부품을 찍어내는 공정이 사출인데 이 사출성형 단계에서는 액체 수지를 금형이라는 틀에 부은 다음 재료를 식혀 틀 모양대로 굳혀서 외관부품을 만들게돼요. 이 때 두께가 두꺼울 경우 사출물이 뒤틀릴 수 있고 반대로 너무 얇은 경우에도 사출물이 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출물의 변형을 막아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리브 와 같은 지지대 구조를 설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작업이 기구설계에 포함됩니다. (아래 사진이 리브이니 참조하여 봐주세요)
기구설계를 진행하지 않고 제품을 생산할 경우 기껏 사출한 부품들을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처분해야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효율적인 금형 사용
제품을 찍어내는 틀을 금형이라고 해요. 금형을 설계할 때는 하나의 금형에 하나의 부품만 사출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하나의 금형에 여러개의 부품이 사출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어요. 이 때 부품모양으로 움푹 패인 공간을 캐비티라고 하는데, 1X1 캐비티의 경우 1개의 베이스에 부품을 2개 사출할 수 있는 금형을 말하고 1X4 캐비티는 1개의 베이스에 부품을 4개 사출할 수 있는 금형을 말합니다.
캐비티가 증가할 수록 한번에 여러개의 부품을 생산할 수 있다보니 사출비용도 절감하고, 생산에 소요되는 리드타임도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어요 (금형 제작 비용은 캐비티 수가 적을수록 저렴합니다)
대량 생산을 위한 필수 요소, 금형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한국전자기술 입니다. 대량생산을 위해 준비해야하는 요소 중 하나는 #금형 인데요, 금형이란 무엇일까요? 금형은 크게보았을 때 제품을 찍어내는 '틀'이라고 할 수 있
ket-jm.tistory.com
생산 단계의 조립 효율 개선
제품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파트를 구분하는 작업을 파팅이라고 하는데, 파팅은 기구설계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조립성 높은 파팅과 구조설계로 조립단가를 낮출 수 있어 생산단가에도 영향이 있는 부분이에요.
기구설계와 파팅에 따라 가공 방식도 달라질 수 있는데 제품을 분할하지 않고 통째로 가공하는 것을 통가공이라고 해요. 통가공으로 제품을 생산하도록 설계하거나 제품의 크기와 구조를 감안하여 분할 가공해 접합하도록 설계할 수 있어요.
Korean Electronics Technology – Electronics and innovative technology
한국전자기술은 다년간의 축적된 ‘Iot스마트 디바이스 제품개발분야의 기술’과 ‘융복합 서비스 로봇 개발분야의 기술’을 바탕으로 제품화 노하우와 사업화의 경쟁력을 통해 고객의 아이디
krnd.kr
'제품개발 정보공유 > 제품디자인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키지 디자인을 '잘' 만드는 방법 (0) | 2023.05.25 |
---|---|
UX 디자인과 UI 디자인, 차이점은? (0) | 2023.05.22 |
상품 가치를 상승시키는 제품디자이너 (0) | 2023.05.18 |
제품디자인 시 참고할 수 있는 팬톤컬러 (0) | 2023.05.08 |
기구설계로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방법 (0) | 2023.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