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게시글을 통해 제품개발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회로 설계 파트를 설명드리면서 PCB와 아트웍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었습니다.
회로설계에서 사용되는 PCB와 아트웍은 무슨 뜻일까요?
2022.09.07 - [제품개발 프로세스] - 제품 개발 프로세스 알아보기 #내 제품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PCB(Printed Circuit Board)는 인쇄회로기판을 뜻합니다.
전기전자 전공자분들은 아실 거라고 생각됩니다. 회로설계 후 빵판이라 불리는 브레드보드와 점퍼선을 활용해 동작을 확인하는 작업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배선을 동판에 프린트한 것이 PCB입니다.
점퍼선 없이도 연결되어 있는 회로라고 볼 수 있지요.
PCB를 활용하면 점퍼선으로 각 소자를 일일이 연결하는 것에 비해 사이즈를 대폭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 설계에도 용이하고 배선 문제로 발생했던 오류를 제거한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제품의 경량화를 위해서도 꼭 필요한 것이 PCB에요.

PCB는 배치된 부품의 유무에 따라 PCBA와 베어보드(Bare Board)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위 사진과 같이 부품이 실장된 PCB를 PCBA로 구분합니다. PCBA는 실제 동작을 하도록 제작되어있어요.

위 사진과 같이 부품이 실장되지 않은 PCB는 베어보드(Bare Board)라고도 합니다. 부품이 전혀 실장되지 않았기 때문에 PCBA를 만드는 재료로밖에 사용되지 않아요.
PCB 위에 특정 부품을 솔더링(납땜)하는 기술을 SMT라고하는데 SMT란 Surface Mounted Technology의 약자로 표면 실장 기술이라고 합니다.
정리하면, 베어보드에 SMT 작업을 거쳐 PCBA를 만들어내고 비로소 기능 구현을 할 수 있게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트웍(Artwork)이란 부품을 PCB위에 배치하는 설계 작업입니다.
파일로만 구성된 회로는 실제 PCB로 제작되기 위해 배치작업을 거쳐야 하는데요, 이 배치작업이 아트웍입니다.
쉽게 말해 PCB설계작업이라고 볼 수 있어요.
아트웍 프로그램으로는 PADS가 통상적응로 많이 사용되는데요,
OrCAD가 회로설계에 특화되어 있듯이 PADS는 아트웍에 특화되어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제품개발 견적 자세히 알아보기


'제품개발 정보공유 > PCB 회로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적인 PCB 설계와 제작, 시행착오 없이 완성하는 방법 : 제품개발 과정 (1) | 2025.03.10 |
---|---|
전자 회로 설계를 위한 필수 툴과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비교 분석 (1) | 2024.12.16 |
직류와 교류의 특징 및 차이점 #교류의 위험성 (0) | 2024.06.10 |
전원 스위치에 사용되는 로커 스위치와 표기 (0) | 2024.04.29 |
고속 충전 규격, QC와 PD (+AFC, SFC) (0) | 2024.03.11 |